서울의 한 음식점, 얼마 전 배달앱 영업을 그만뒀습니다. <br /> <br />갈수록 비싸지는 배달료 탓에 팔수록 손해라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. <br /> <br />대신 가까운 곳은 사장님이 직접 배달하거나, 포장 주문을 유도합니다. <br /> <br />배달료는 가게 주인이 비율을 정해 손님과 나눠 내는 형태라 소비자들도 부담스럽긴 마찬가지. <br /> <br />젊은 층 사이에선 '배달공구(공동구매)' 같은 새로운 풍속도 생겨났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선웅·강윤아 / 서울 신림동 : 아파트나 빌라 같은 데, 예를 들어 치킨이면 같이 시킬 사람들을 찾아서 한군데서 같이 시키고 배달비는 한 번만 내고 찾아서 가지고 간다고 하더라고요.] <br /> <br />배달료 인상의 배경으론 대형 플랫폼 업체들의 출혈 경쟁이 꼽힙니다. <br /> <br />후발 주자인 쿠팡이츠가 '단건 배달'을 앞세워 점유율을 확대하자, 업계 선두인 배달의 민족도 비슷한 서비스를 출시하며 맞불을 놓은 겁니다. <br /> <br />기사 1명이 서너 곳씩 묶어서 배달해 오다가 이젠 1곳만 가는 만큼, 배달료는 비싸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단건 배달이 대세를 이룬 서울 도심에선 사실상 묶음 배송에 대한 선택권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돈이 되는 단건 배달에 몰린 기사들을 끌어온다는 명목 아래 묶음 배송 가격도 덩달아 올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, 배달 기사들의 산재보험과 고용보험 가입 의무화도 배달료 인상을 부추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치솟는 배달료를 잡기 위해 이번 달부터 배달 원가를 조사해 공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금의 배달료는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폭발적으로 늘어난 배달 주문과 부족한 배달원 숫자가 만나서 형성된 가격입니다. <br /> <br />수요와 공급의 새로운 균형점을 찾지 못한다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단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20308455220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